- 1916. 01. 10. ~ 2010. 12. 03.
무대장치, 극작, 연출
■아래 이원경선생님 관련 기록은
1. 「空手來空手去」
2. 「연극원 화술자료집4」
3. 재봉틀의 국어방
4. 예술자료원 DA-arts
에서 발췌한 것임.
출처 1. 「空手來空手去」
출처 2. 「연극원 화술자료집4」
출처 3. 재봉틀의 국어방
극작가ㆍ연출가. 서울 출생. 1938년 일본미술학교 양화과(洋畵科) 졸업.
1940년 도쿄 가와바타화학교 연구과 2년 수학,
쿄아테네프랑세 불어과 3년 수학.
1942년 <해적(海賊) 프리이 헤이즈>로 문단 데뷔.
그 후 <오셀로> 동 100여 편 연출 담당함.
극단 [현대극장] 창단 동인,
서라벌예술대학 교수,
극단 [민극] 창단,
예그린악단 기획실 실장,
[창고극장] 설립, 대표 등 역임. 예술원 회원.
【경력】
1938년 일본 동경축지소극장(東京築地小劇場)ㆍ
신축지극단(新築地劇團) 미술부 입단
1941년 극단 [현대극장] 창단 동인
1941년 국립연극연구소 강사
1943년 평양에서 [청명극단] 창단 동인.
1952년 국립극장 기획위원, 운영위원(∼1961)
1953년 극단 [민극] 창단, 대표
1954년 서라벌예술대학 연극과 교수
1960년 국립극장 운영위원
1961년 예그린악단 기획실 실장
1963년 드라마센터서울연극학교 강사. 작품 활동(∼1970)
1966년 제34차 국제펜대회 참가
1969년 극단 [69] 창단
1969년 제36차 국제펜대회 참가(프랑스 Manton)
1971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대우교수(∼1978)
1975년 ITI 총회 참석(서독 베를린)
1976년 삼일로 [창고극장] 설립, 대표(∼1983)
1976년 제5회 아시아예술 심포지엄 주제 발표 :
<동양사상이 사계의 문학과 연극에 미친 영향>
1978년 예술원 회원(연극)(∼1987)
1979년 동 연극분과회장
1979년 ITI 총회 참석(볼리비아 소피아)
1981년 중앙대 객원교수
1981년 제10회 아시아예술심포지엄 주제 발표 : <현대와 인간의 예술>
1981년 셰익스피어연구(영국)
1981년 예술원 연극ㆍ영화ㆍ무용분과 회장
1981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대우교수
1983년 연극 강연 : 주제 <한국예술 어디까지 왔나>(강원대학교)
1984년 무용극대본 <도미부인>(L.A 올림픽 참가작)
1984년 한일 연극페스티벌 공연(일본)
1984년 연극 강연 : <연극창조와 화술(話術)>(조선대학교)
1985년 연극 강연 : <현대한국연극의 문제점>(부산산업대학)
1986년 국제문화교류(프랑스ㆍ스페인ㆍ이탈리아ㆍ스위스)
1987년 예술원 연극ㆍ영화ㆍ무용분과 회장
1987년 예술원 원로회원(연극)(∼1988)
1987년 <귀두감상(鬼頭感象)> 연출(일본 동경)
1987년 <발견(發見)의 회(會)> 연출(일본극단)
1987년 예술연구지원사업 : 연구주제 <연기론(演技論)>
1987년 연극 강연 : <현대연극의 과제>(전북대학교)
1988년 연극 강연 : <한국의 소극장 운동>(청주대학교)
1988년 일본 도쿄극단 [발견의 회]에서 <귀두혹신(鬼頭惑臣)> 연출
1989년 연극 강연 : <연극에 대한 인식의 변화>(전북대학교)
1989년 ITI 총회 참석(필란드 헬싱키, 소련 레닌그라드)
1989년 논문 발표 : <리얼리즘 연극의 재정립을 위한 소고(小考)>
(예술원보 33호)
1989년 가가와 예술심포지엄 참석 :
<한국연극 초창기의 일본연극과의 관련>
1990년 예술 활동 조성비 연구주제 발표
<일본 신파극이 한국연극에 끼친 영향> (에술논문집 30호)
1994년 연극 1세대 추모기념무대(국립극장 소극장), 여수, 진주 순회공연
1995년 광복 50주년기념 무용극 대본 <파도>(세종문화회관) 연출
1995년 97세계연극제 리허설극 <바람 분다 문 열어라>(문예회관 대극장)
연출
1996년 무용극대본 <오셀로>(국립극장) 연출
1997년 용인대 연극학과 강사
1997년 전국대학연극제 심사위원장
1997년 전국청소년연극제 심사위원장
1997년 어린이연극제 심사위원장
1997년 학생의 날 기념 무용극 <나는 불섬으로 간다>
연출(광주 문예회관 대극장)
1997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심사위원장
1999년 <운상각> 공연(국립중앙극장)
1999년 <무의도 기행> 공연(국립중앙극장ㆍ동숭아트센터)
1999년 일본대학교 예술대학원 특강 : <연극의 원리
【희곡】<해적 프리헤이즈>(1942) <계절풍>(1943) <격분>(1954) <유성(流星)이 가는 곳>(1955) <수선화>(1955) <호(壕)>(1956) <김대건 신부(金大建神父)>(1965) <해결되지 않는>(1967) <백의종군>(1972) <견우와 직녀>(문화예술진흥원.1974) <도미 부인>(1984) <고려애사(高麗哀史)>(1990) <저 하늘 저 북소리>(1990) <파도>(1995) <오셀로>(1996) <나는 불섬으로 간다>(1997) <불멸(不滅)의 군(軍)>(1999)
【무용극 대본】<고려애사>(1990) <저 하늘 저 북소리>(1990) <파도>(1995)
【희곡집】<이원경희곡집>(평민사.1999) <불멸의 처>(평민사.1999)
【각색】<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56)
<연극연출론>(현대미학사.1976) <연극 화술론>(1976) <동시대(同時代)의 연극인>(1988) <예술가의 삶: 차범석 평전>(1993) <목포행 완행열차>(융성출판사.1994) <희곡론>(1999)
【회고담】<공수래공수거>(늘봄.2005)
1978 예술원상
1978 중앙문화대상
1982 동랑연극상
1982 은관문화훈장
1983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출처 4. 예술자료원 DA-arts
1.수련과정
1929 제일고보(경기고등학교의 전신) 3년 수학
1938 일본미술학교 양화과 졸업
일본 동경 아테네 프랑세즈 3년 수료
1938-1940 일본 동경천단화학교 연구과 2년 수료
2.활동경력
1938.4 일본 동경축지소극장 소속 신축지극단 미술부 입단.
1941 극단 현대극장 창단 동인 (대표 유치진, 연출부장 주영섭, 무대부장 이원경)
1943 평양 쳥명(淸明)극단 창립
1952 1·4후퇴 시 대구 국립극장 기획위원
1953 극단 민극(民劇), 준 국립극단 전속극단 창단
1955 서라벌예술대학교 연극과 교수
1960 국립극장 운영위원
1961 예그린악단 기획실 실장
1963-1970 드라마센터 서울연극교 강사
1971-1978 중앙대 예술대 대우교수
1976 영국 정부 초청(영국 정부 문화원)으로 영국 및 세계 10개국 연극 시찰 여행,
삼일로 창고극장 설립, 대표
1978 예술원 회원(연극)
1981 중앙대 객원교수
2004.6 현재 예술원 회원
3.수상경력
1978 대한민국 예술원상, 중앙문화대상
1982 은관문화훈장, 동랑연극상
1983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1.연출, 무대장치
<춘향전>, 극예술연구회, 무대장치 담당, 1938.
< 무형탑>, 현진건 원작, 함세덕 각색, 유치진 연출, 극단 고협, 무대장치 담당, 1940.
< 흑룡강>, 극단 현대극장, 무대장치 담당, 1941.
< 早春>, 극단 현대극장 3회 공연작, 무대장치 담당, 1941.
< 파랑새>, 명동 시공관, 연출, 1954.
< 엄마의 모습>, 극단 8월극장 창단 공연, 연출, 1959.
< 삼중인격>, 극단 8월극장, 연출, 1960.
< 심청전>, 국립창극단, 연출, 1960.
< 오델로>, 드라마센터, 연출, 세익스피어 400주년 기념공연, 1964.
< 한 여름 밤의 꿈>, 서라벌예대, 연출, 1970.
< 춘향전>, 국립창극단, 연출, 1976.
< 오델로>, 드라마센터, 연출, 1978.
< 鬼頭惑象>, 일본 극단 ‘발견의 회’, 연출, 1988.
2.희곡 창작
<해적 프리헤이즈> ,<국민문학>, 1943. 5-6.
< 격분>, 극단 신청년, 1952.
<수선화>, 국립극단, 1965.
< 김대건신부>, 극단 드라마센터, 1969.
<해결되지 않는…>, 극단 69, 1970.
< 백의 종군>, 서라벌예술대학, 1973.
3.논저
「신연극의 효시는 이인직이었는가 그것은 거짓이다」, 『문학사상』, 1975. 7.
「최근의 연출 경향」, 『한국연극』, 1976. 2.
「지긋지긋한 그 날들」, 『한국연극』, 1977. 6.
「잊지 못할 무대 3 - <무형탑>」, 『한국연극』, 1981. 3.
「연극기행」 (1, 2, 3, 4), 『한국연극』, 1981. 7.8.9.10.11.
권두좌담 (이원경, 이재인, 이중한), 「공연법 및 그 시행령 개정에 부쳐」, 『한국연극』, 1982.
4.
「한문권의 한국과 일본의 언어 및 TV방송 화술의 문제점들」, 『한국연극』, 한국연극협회, 1998. 11
『이원경 연극연출론』, 현대미학사, 1997. 7.
『불멸의 처』, 희곡집, 평민사, 1999. 12.
『이원경 연극화술론』,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2003. 12.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